교황님의 미사 강론(2025.11.23)
최고관리자
22시간 33분전
2
0
- - 짧은주소 : http://www.yscatholic.com/bbs/?t=1zW
본문
HOMILY OF POPE LEO XIV, JUBILEE OF CHOIRS, Solemnity of Our Lord Jesus Christ, King of the Universe, St Peter's Square, Sunday, 23 November 2025
Dear sisters and brothers, In the responsorial Psalm, we have sung, “Let us go rejoicing to the house of the Lord” (cf. Ps 122). Today’s liturgy invites us, therefore, to walk together in praise and joy towards the encounter with the Lord Jesus Christ, King of the Universe, gentle and humble Sovereign, the One who is the beginning and end of all things. His power is love, his throne the Cross, and through the Cross his Kingdom shines forth upon the world. “From the wood he reigns” (cf. Hymn Vexilla Regis) as Prince of Peace and King of Justice who, in his Passion, reveals to the world the immense mercy of God’s heart. This love is also the inspiration and motive for your singing.
교황 레오 14세 성가대 특별 희년 강론,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11월 23일 주일
사랑하는 자매 형제 여러분, 화답송에서 우리는 “기뻐하며 주님의 집으로 가리라” (시편 122편 참조)라고 노래했습니다. 그러므로 오늘 전례는 온 누리의 임금이시며, 온화하고 겸손하신 군주이시고, 모든 만물의 시작이자 마침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 뵙기 위해 찬양하고 기뻐하며 함께 걸어가도록 우리를 초대합니다. 그분의 권능은 사랑이고, 그분의 왕좌는 십자가이며, 십자가를 통해서 그분의 왕국은 세상에 빛을 발합니다. 평화의 왕자, 그리고 정의의 왕으로서 “그분은 나무에서 다스리시며” (찬미가 벡실라 레지스 참조) 당신의 수난에서 세상에 하느님 마음의 무한한 자비를 드러내십니다. 이 사랑은 또한 여러분의 성가를 위한 영감과 동기입니다.
Dear choristers and musicians, today you celebrate your jubilee and you show thanks to the Lord for granting you the gift and grace to serve him by offering your voices and talents for his glory and for the spiritual edification of your brothers and sisters (cf. 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 Sacrosanctum Concilium, 120). Your task is to draw others into the praise of God and to help them to participate more fully in the liturgy through song. Today, you fully express your “iubilum,” your exultation, which flows from hearts overflowing with the joy of grace.
사랑하는 성가대원과 음악가 여러분, 오늘 여러분은 여러분의 희년을 기념하며, 여러분의 목소리와 재능으로 하느님의 영광과 형제자매들의 교화를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 Sacrosanctum Condilium, 120항 참조) 위해 그분께 봉사할 수 있는 선물과 은총을 주신 주님께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사명은 신자들을 하느님께 대한 찬미로 인도하고, 그들이 성가를 통해 전례에 더욱 온전히 참여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오늘 여러분은 은총의 기쁨으로 넘치는 마음에서 흘러나오는 여러분의 환희, 즉 “이우빌룸(iubilum)”을 한껏 표현하십니다.
Great civilizations have given us the gift of music in order to express what we carry deep in our hearts and what words cannot always convey. Music can give expression to the whole range of feelings and emotions that arise within us from a living relationship with reality. Singing, in particular, constitutes a natural and refined expression of the human being: mind, feelings, body and soul come together to communicate the great events of life. As Saint Augustine reminded us: “Cantare amantis est” (cf. Sermo 336,1), that is, “singing belongs to those who love.” Those who sing give expression to love, but also to the pain, tenderness and desire that dwell in their hearts, while at the same time, loving those to whom they address their song (cf. Enarrationes in Psalmos, 72,1).
위대한 문명은 우리에게 마음속 깊이 간직한 것, 그리고 말로는 다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도록 음악이라는 선물을 주었습니다. 음악은 현실과의 생생한 관계로부터 우리 내면에 솟아오르는 온갖 느낌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노래는 인간의 자연스럽고 세련된 표현으로서, 정신, 느낌, 몸, 그리고 영혼이 함께 어우러져 삶의 위대한 사건들을 소통합니다. 성 아오스딩이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환기시켰습니다. "Cantare amantis est" (설교 336,1 참조) 즉 "노래는 사랑하는 이들의 것입니다." 노래하는 이들은 사랑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마음에 있는 고통, 다정, 그리고 갈망을 표현하고 동시에 그들이 노래하는 대상을 사랑합니다. (시편 주석 72,1 참조)
For the people of God, song expresses invocation and praise. It is the “new song” that the Risen Christ raises to the Father, in which all the baptized participate as one body animated by the new life of the Spirit. In Christ, we become singers of grace, children of the Church who discover in the Risen One the cause of our praise. Liturgical music thus becomes a precious instrument through which we carry out our service of praise to God and express the joy of new life in Christ.
하느님 백성에게는 노래가 기도와 찬양을 표현합니다. 그것은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아버지께 올리시는 “새 노래”이며, 그 노래에 모든 세례 받은 사람들이 성령의 새 생명으로 활성화된 한 몸으로 참여합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은총의 가수가 되고, 부활하신 분에게서 우리의 찬양의 이유를 깨닫는 교회의 자녀가 됩니다. 그러므로 전례 음악은 우리가 하느님께 찬양의 봉사를 드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 생명의 기쁨을 표현하는 귀중한 도구가 됩니다.
Saint Augustine exhorts us, again, to sing while we walk, like weary travelers who find in song a foretaste of the joy they will experience when they reach their destination. “Sing, but continue your journey […] progress in virtue” (Sermon 256, 3). Being part of a choir means advancing together, therefore, taking our brothers and sisters by the hand and helping them to walk with us. It means singing the praises of God together, consoling our brothers and sisters in their suffering, exhorting them when they seem to give in to fatigue and encouraging them when difficulties seem to prevail. Singing reminds us that we are a Church on a journey, an authentic synodal reality capable of sharing with everyone the vocation to praise and joy on this pilgrimage of love and hope.
성 아오스딩은 우리에게 목적지에 도착할 때 우리가 경험할 기쁨을 미리 맛보는 지친 여행자들처럼 걷는 동안 노래할 것을 재차 권고합니다. “노래하되, 여정을 계속하십시오. […] 덕의 진전.”(설교 256, 3) 성가대의 일원이 되는 것은 함께 나아가는 것, 그리하여, 형제자매들의 손을 잡고 그들이 우리와 함께 걷도록 돕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함께 하느님 찬양을 노래하고, 고통 받는 우리의 형제자매들을 위로하고, 그들이 지쳐 쓰러질듯 할 때 권고하고, 어려움이 닥칠 때 그들을 격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래를 하는 것은 우리가 여정에 있는 교회이며, 사랑과 희망의 순례에서 모든 사람과 함께 찬양과 기쁨의 소명을 나눌 수 있는 진정한 시노드적 실체임을 일깨워줍니다.
Saint Ignatius of Antioch also employs moving words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ng of the choir and the unity of the Church: “From your unity and harmonious love, sing to Jesus Christ. And let each one become a choir, so that being harmonious of your arrangement and taking up the song of God in unison, you may with one voice sing to the Father through Jesus Christ, that he may both hear you and recognize you for your good works” (Saint Ignatius of Antioch, Ad Ephesios, IV). In fact, the different voices of a choir harmonize with each other, giving rise to a single hymn of praise, a luminous symbol of the Church, which unites everyone in love in a single pleasing melody.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또한 성가대의 노래와 교회의 일치 사이의 관계를 감동적인 말로 표현합니다. “여러분의 일치와 조화로운 사랑으로 예수 그리스도께 노래하십시오. 그리고 각자가 하나의 성가대가 되어, 여러분의 대열에 조화를 이루고, 하느님의 노래를 한목소리로 부르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한 목소리로 아버지께 노래하십시오. 그러면 아버지께서 여러분의 노래를 들으시고 여러분의 선행을 알아보실 것입니다.”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에페소서 4장) 사실, 성가대의 다양한 목소리는 서로 조화를 이루어 하나의 찬양노래를 만들고 이것은 모든 사람들을 사랑으로 일치시키어 하나의 아름다운 선율로 만드는 교회의 빛나는 상징입니다.
You belong to choirs that carry out their ministry primarily in liturgical settings. Yours is a true ministry that requires preparation, commitment, mutual understanding and, above all, a deep spiritual life, so that when you sing, you both pray and help everyone else to pray. This ministry requires discipline and a spirit of service, especially when preparing for a solemn liturgy or an important event in your communities. The choir is a small family of individuals united by their love of music and the service they offer. However, remember that the community is your larger family. You are not on stage, but rather a part of that community, endeavoring to help it grow in unity by inspiring and engaging its members. As in all families, tensions or minor misunderstandings can arise. These things are normal when working together and striving to achieve a goal. We can say to some extent that the choir symbolizes of the Church, which, striving toward its goal, walks through history praising God. Even when this journey is beset by difficulties and trials and joyful moments give way to more challenging ones, singing makes the journey lighter, providing relief and consolation.
여러분은 주로 전례적인 환경에서 봉사하는 성가대에 속해 있습니다. 여러분의 봉사는 준비, 헌신, 상호이해, 그리고 무엇보다도, 노래할 때 여러분이 기도하고 다른 모든 사람이 기도하도록 돕는 깊은 영적 삶을 요구하는 진정한 봉사입니다. 이러한 봉사는 규율과 봉사 정신을 요구하며, 특히 장엄 전례나 공동체의 중요한 행사를 준비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성가대는 음악에 대한 사랑과 음악의 봉사로 뭉쳐진 개인들의 작은 가정입니다. 하지만 공동체가 여러분의 더 큰 가정이라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여러분은 무대 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일부로서, 구성원들에게 영감을 주고 참여시킴으로써 공동체가 하나 되어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노력합니다. 모든 가정에서처럼, 긴장이나 사소한 오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함께 일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때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성가대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며, 하느님을 찬양하며 오랜 기간 걸어가는 교회를 어느 정도 상징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여정이 어려움과 시련에 시달리고 즐거운 순간이 더 어려운 순간으로 바뀌는 때에도 노래는 여정을 더 가볍게 만들어, 안도와 위로를 제공합니다.
Strive, therefore, to make your choirs ever harmonious and beautiful, and a brighter image of the Church praising her Lord. Study the Magisterium carefully. The conciliar documents set out the norms for carrying out your service in the best possible way. Above all, dedicate yourselves to facilita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of God, without giving in to the temptation of ostentation, which prevents the entire liturgical assembly from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inging. In this, be an eloquent sign of the Church’s prayer, expressing its love for God through the beauty of music. Take care that your spiritual life is always worthy of the service you perform, so that your ministry may authentically express the grace of the liturgy.
그러므로 여러분의 성가대가 항상 조화롭고 아름답게 되고, 주님을 찬양하는 교회의 더욱 밝은 이미지가 되도록 노력하십시오. 교도권을 주의 깊게 연구하십시오. 공의회 문헌은 여러분의 봉사를 최선의 방식으로 수행하기 위한 규범을 제시합니다. 무엇보다도 하느님 백성이 함께 성가를 부르도록 헌신하시고, 전체 회중이 적극적으로 성가를 부르는 것을 방해하는 과시의 유혹에 굴복하지 마십시오. 이렇게 하여 교회 기도의 웅변적인 표징이 되고, 음악의 아름다움을 통해 교회의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표현하십시오. 여러분의 영적 삶이 언제나 여러분이 수행하는 봉사에 걸맞도록 주의를 기울이시어, 여러분의 봉사가 진정으로 전례의 은총을 표현하게 하십시오.
I place all of you under the protection of Saint Cecilia, the virgin and martyr who raised the most beautiful song of love through her life here in Rome, giving herself entirely to Christ and offering the Church a shining example of faith and love. Let us continue singing and once again make our own the invitation of today’s responsorial psalm: “Let us go rejoicing to the house of the Lord.”
저는 여러분 모두를 동정녀이며 순교자인 성녀 체칠리아의 보호에 의탁합니다. 체칠리아 성녀는 이곳 로마에서 자신의 삶을 통해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노래를 바쳤고, 자신을 온전히 그리스도께 바치고, 믿음과 사랑의 빛나는 모범을 교회에 드렸습니다. 우리 모두 계속해서 노래하고, 다시 한 번 오늘의 화답송 “기뻐하며 주님의 집으로 가리라.” 가 우리의 노래가 되도록 합시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Dear sisters and brothers, In the responsorial Psalm, we have sung, “Let us go rejoicing to the house of the Lord” (cf. Ps 122). Today’s liturgy invites us, therefore, to walk together in praise and joy towards the encounter with the Lord Jesus Christ, King of the Universe, gentle and humble Sovereign, the One who is the beginning and end of all things. His power is love, his throne the Cross, and through the Cross his Kingdom shines forth upon the world. “From the wood he reigns” (cf. Hymn Vexilla Regis) as Prince of Peace and King of Justice who, in his Passion, reveals to the world the immense mercy of God’s heart. This love is also the inspiration and motive for your singing.
교황 레오 14세 성가대 특별 희년 강론,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11월 23일 주일
사랑하는 자매 형제 여러분, 화답송에서 우리는 “기뻐하며 주님의 집으로 가리라” (시편 122편 참조)라고 노래했습니다. 그러므로 오늘 전례는 온 누리의 임금이시며, 온화하고 겸손하신 군주이시고, 모든 만물의 시작이자 마침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 뵙기 위해 찬양하고 기뻐하며 함께 걸어가도록 우리를 초대합니다. 그분의 권능은 사랑이고, 그분의 왕좌는 십자가이며, 십자가를 통해서 그분의 왕국은 세상에 빛을 발합니다. 평화의 왕자, 그리고 정의의 왕으로서 “그분은 나무에서 다스리시며” (찬미가 벡실라 레지스 참조) 당신의 수난에서 세상에 하느님 마음의 무한한 자비를 드러내십니다. 이 사랑은 또한 여러분의 성가를 위한 영감과 동기입니다.
Dear choristers and musicians, today you celebrate your jubilee and you show thanks to the Lord for granting you the gift and grace to serve him by offering your voices and talents for his glory and for the spiritual edification of your brothers and sisters (cf. 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 Sacrosanctum Concilium, 120). Your task is to draw others into the praise of God and to help them to participate more fully in the liturgy through song. Today, you fully express your “iubilum,” your exultation, which flows from hearts overflowing with the joy of grace.
사랑하는 성가대원과 음악가 여러분, 오늘 여러분은 여러분의 희년을 기념하며, 여러분의 목소리와 재능으로 하느님의 영광과 형제자매들의 교화를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 Sacrosanctum Condilium, 120항 참조) 위해 그분께 봉사할 수 있는 선물과 은총을 주신 주님께 감사드립니다. 여러분의 사명은 신자들을 하느님께 대한 찬미로 인도하고, 그들이 성가를 통해 전례에 더욱 온전히 참여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오늘 여러분은 은총의 기쁨으로 넘치는 마음에서 흘러나오는 여러분의 환희, 즉 “이우빌룸(iubilum)”을 한껏 표현하십니다.
Great civilizations have given us the gift of music in order to express what we carry deep in our hearts and what words cannot always convey. Music can give expression to the whole range of feelings and emotions that arise within us from a living relationship with reality. Singing, in particular, constitutes a natural and refined expression of the human being: mind, feelings, body and soul come together to communicate the great events of life. As Saint Augustine reminded us: “Cantare amantis est” (cf. Sermo 336,1), that is, “singing belongs to those who love.” Those who sing give expression to love, but also to the pain, tenderness and desire that dwell in their hearts, while at the same time, loving those to whom they address their song (cf. Enarrationes in Psalmos, 72,1).
위대한 문명은 우리에게 마음속 깊이 간직한 것, 그리고 말로는 다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도록 음악이라는 선물을 주었습니다. 음악은 현실과의 생생한 관계로부터 우리 내면에 솟아오르는 온갖 느낌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특히 노래는 인간의 자연스럽고 세련된 표현으로서, 정신, 느낌, 몸, 그리고 영혼이 함께 어우러져 삶의 위대한 사건들을 소통합니다. 성 아오스딩이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환기시켰습니다. "Cantare amantis est" (설교 336,1 참조) 즉 "노래는 사랑하는 이들의 것입니다." 노래하는 이들은 사랑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마음에 있는 고통, 다정, 그리고 갈망을 표현하고 동시에 그들이 노래하는 대상을 사랑합니다. (시편 주석 72,1 참조)
For the people of God, song expresses invocation and praise. It is the “new song” that the Risen Christ raises to the Father, in which all the baptized participate as one body animated by the new life of the Spirit. In Christ, we become singers of grace, children of the Church who discover in the Risen One the cause of our praise. Liturgical music thus becomes a precious instrument through which we carry out our service of praise to God and express the joy of new life in Christ.
하느님 백성에게는 노래가 기도와 찬양을 표현합니다. 그것은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아버지께 올리시는 “새 노래”이며, 그 노래에 모든 세례 받은 사람들이 성령의 새 생명으로 활성화된 한 몸으로 참여합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는 은총의 가수가 되고, 부활하신 분에게서 우리의 찬양의 이유를 깨닫는 교회의 자녀가 됩니다. 그러므로 전례 음악은 우리가 하느님께 찬양의 봉사를 드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 생명의 기쁨을 표현하는 귀중한 도구가 됩니다.
Saint Augustine exhorts us, again, to sing while we walk, like weary travelers who find in song a foretaste of the joy they will experience when they reach their destination. “Sing, but continue your journey […] progress in virtue” (Sermon 256, 3). Being part of a choir means advancing together, therefore, taking our brothers and sisters by the hand and helping them to walk with us. It means singing the praises of God together, consoling our brothers and sisters in their suffering, exhorting them when they seem to give in to fatigue and encouraging them when difficulties seem to prevail. Singing reminds us that we are a Church on a journey, an authentic synodal reality capable of sharing with everyone the vocation to praise and joy on this pilgrimage of love and hope.
성 아오스딩은 우리에게 목적지에 도착할 때 우리가 경험할 기쁨을 미리 맛보는 지친 여행자들처럼 걷는 동안 노래할 것을 재차 권고합니다. “노래하되, 여정을 계속하십시오. […] 덕의 진전.”(설교 256, 3) 성가대의 일원이 되는 것은 함께 나아가는 것, 그리하여, 형제자매들의 손을 잡고 그들이 우리와 함께 걷도록 돕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함께 하느님 찬양을 노래하고, 고통 받는 우리의 형제자매들을 위로하고, 그들이 지쳐 쓰러질듯 할 때 권고하고, 어려움이 닥칠 때 그들을 격려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노래를 하는 것은 우리가 여정에 있는 교회이며, 사랑과 희망의 순례에서 모든 사람과 함께 찬양과 기쁨의 소명을 나눌 수 있는 진정한 시노드적 실체임을 일깨워줍니다.
Saint Ignatius of Antioch also employs moving words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ng of the choir and the unity of the Church: “From your unity and harmonious love, sing to Jesus Christ. And let each one become a choir, so that being harmonious of your arrangement and taking up the song of God in unison, you may with one voice sing to the Father through Jesus Christ, that he may both hear you and recognize you for your good works” (Saint Ignatius of Antioch, Ad Ephesios, IV). In fact, the different voices of a choir harmonize with each other, giving rise to a single hymn of praise, a luminous symbol of the Church, which unites everyone in love in a single pleasing melody.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또한 성가대의 노래와 교회의 일치 사이의 관계를 감동적인 말로 표현합니다. “여러분의 일치와 조화로운 사랑으로 예수 그리스도께 노래하십시오. 그리고 각자가 하나의 성가대가 되어, 여러분의 대열에 조화를 이루고, 하느님의 노래를 한목소리로 부르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한 목소리로 아버지께 노래하십시오. 그러면 아버지께서 여러분의 노래를 들으시고 여러분의 선행을 알아보실 것입니다.”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에페소서 4장) 사실, 성가대의 다양한 목소리는 서로 조화를 이루어 하나의 찬양노래를 만들고 이것은 모든 사람들을 사랑으로 일치시키어 하나의 아름다운 선율로 만드는 교회의 빛나는 상징입니다.
You belong to choirs that carry out their ministry primarily in liturgical settings. Yours is a true ministry that requires preparation, commitment, mutual understanding and, above all, a deep spiritual life, so that when you sing, you both pray and help everyone else to pray. This ministry requires discipline and a spirit of service, especially when preparing for a solemn liturgy or an important event in your communities. The choir is a small family of individuals united by their love of music and the service they offer. However, remember that the community is your larger family. You are not on stage, but rather a part of that community, endeavoring to help it grow in unity by inspiring and engaging its members. As in all families, tensions or minor misunderstandings can arise. These things are normal when working together and striving to achieve a goal. We can say to some extent that the choir symbolizes of the Church, which, striving toward its goal, walks through history praising God. Even when this journey is beset by difficulties and trials and joyful moments give way to more challenging ones, singing makes the journey lighter, providing relief and consolation.
여러분은 주로 전례적인 환경에서 봉사하는 성가대에 속해 있습니다. 여러분의 봉사는 준비, 헌신, 상호이해, 그리고 무엇보다도, 노래할 때 여러분이 기도하고 다른 모든 사람이 기도하도록 돕는 깊은 영적 삶을 요구하는 진정한 봉사입니다. 이러한 봉사는 규율과 봉사 정신을 요구하며, 특히 장엄 전례나 공동체의 중요한 행사를 준비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 성가대는 음악에 대한 사랑과 음악의 봉사로 뭉쳐진 개인들의 작은 가정입니다. 하지만 공동체가 여러분의 더 큰 가정이라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여러분은 무대 위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의 일부로서, 구성원들에게 영감을 주고 참여시킴으로써 공동체가 하나 되어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 노력합니다. 모든 가정에서처럼, 긴장이나 사소한 오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함께 일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때 있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성가대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며, 하느님을 찬양하며 오랜 기간 걸어가는 교회를 어느 정도 상징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여정이 어려움과 시련에 시달리고 즐거운 순간이 더 어려운 순간으로 바뀌는 때에도 노래는 여정을 더 가볍게 만들어, 안도와 위로를 제공합니다.
Strive, therefore, to make your choirs ever harmonious and beautiful, and a brighter image of the Church praising her Lord. Study the Magisterium carefully. The conciliar documents set out the norms for carrying out your service in the best possible way. Above all, dedicate yourselves to facilita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of God, without giving in to the temptation of ostentation, which prevents the entire liturgical assembly from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singing. In this, be an eloquent sign of the Church’s prayer, expressing its love for God through the beauty of music. Take care that your spiritual life is always worthy of the service you perform, so that your ministry may authentically express the grace of the liturgy.
그러므로 여러분의 성가대가 항상 조화롭고 아름답게 되고, 주님을 찬양하는 교회의 더욱 밝은 이미지가 되도록 노력하십시오. 교도권을 주의 깊게 연구하십시오. 공의회 문헌은 여러분의 봉사를 최선의 방식으로 수행하기 위한 규범을 제시합니다. 무엇보다도 하느님 백성이 함께 성가를 부르도록 헌신하시고, 전체 회중이 적극적으로 성가를 부르는 것을 방해하는 과시의 유혹에 굴복하지 마십시오. 이렇게 하여 교회 기도의 웅변적인 표징이 되고, 음악의 아름다움을 통해 교회의 하느님께 대한 사랑을 표현하십시오. 여러분의 영적 삶이 언제나 여러분이 수행하는 봉사에 걸맞도록 주의를 기울이시어, 여러분의 봉사가 진정으로 전례의 은총을 표현하게 하십시오.
I place all of you under the protection of Saint Cecilia, the virgin and martyr who raised the most beautiful song of love through her life here in Rome, giving herself entirely to Christ and offering the Church a shining example of faith and love. Let us continue singing and once again make our own the invitation of today’s responsorial psalm: “Let us go rejoicing to the house of the Lord.”
저는 여러분 모두를 동정녀이며 순교자인 성녀 체칠리아의 보호에 의탁합니다. 체칠리아 성녀는 이곳 로마에서 자신의 삶을 통해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노래를 바쳤고, 자신을 온전히 그리스도께 바치고, 믿음과 사랑의 빛나는 모범을 교회에 드렸습니다. 우리 모두 계속해서 노래하고, 다시 한 번 오늘의 화답송 “기뻐하며 주님의 집으로 가리라.” 가 우리의 노래가 되도록 합시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