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5.11.16)

최고관리자
2025.11.23 10:02 222 0

본문

POPE LEO XIV, ANGELUS, 33rd Sunday in Ordinary Time, St Peter's Square, 16 November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As the liturgical year draws to a close, today’s Gospel (Lk 21:5-19) invites us to reflect on the travails of history and the end times. Looking at these events and knowing our hearts, Jesus invites us not to be overcome by fear: “When you hear of wars and insurrections,” he says, “do not be terrified.” (v. 9)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연중 제33주일,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11월 16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전례주년이 끝나가는 이 시점에, 오늘 복음(루카 21,5-19)은 역사의 고난과 마지막 때를 묵상하도록 우리를 초대합니다. 이러한 사건들을 바라보시고 우리의 마음을 아시는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두려움에 사로잡히지 말라고 권하십니다.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전쟁과 반란이 일어났다는 소문을 듣더라도 무서워하지 마라.” (루카 21,9)

His appeal is very timely because unfortunately we receive daily news about conflicts, disasters and persecutions that torment millions of men and women.  However, in the face of these afflictions, and in the face of the indifference that seeks to ignore them, Jesus’ words proclaim that the attack of evil cannot destroy the hope of those who trust in him. The darker the hour, the more faith shines like the sun.

그분의 호소는 매우 시의적절합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매일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괴롭히는 갈등, 재난, 박해에 대한 소식을 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고통과 이를 외면하려는 무관심 앞에서 예수님의 말씀은 악의 공격이 그분을 믿는 이들의 소망을 파괴할 수 없다고 선포합니다. 더 어두워질수록 믿음은 태양처럼 더 빛납니다.

Twice, in fact, Christ affirms that “because of my name” many will suffer violence and betrayal, (Lk 21:12, 17) but precisely then they will have the opportunity to bear witness. (cf.  v. 13)  We are called to follow the example of the Master, who revealed the immensity of his love on the cross.  This encouragement concerns us all. Indeed, the persecution of Christians does not only happen through mistreatment and weapons, but also with words, that is, through lies and ideological manipulation. Especially when we are oppressed by these evils, both physical and moral, we are called to bear witness to the truth that saves the world; to the justice that redeems peoples from oppression; to the hope that shows everyone the way to peace.

사실, 그리스도께서는 “내 이름 때문에” 많은 사람이 폭력과 배신으로 고통을 당할 것이라고 두 번 확인하시고, (루카 21,12, 17) 그러나 이러한 일이 너희에게는 증언할 기회가 될 것이다 (21,13 참조) 라고 말씀하십니다. 우리는 십자가에서 당신의 무한한 사랑을 드러내신 주님의 모범을 따르도록 부르심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격려는 우리 모두에게 해당됩니다. 사실, 그리스도인에 대한 박해는 학대와 무기를 통해서 뿐만 아니라, 말, 즉 거짓말과 이념적 조작을 통해서도 이루어집니다. 특히 우리가 이러한 육체적, 도덕적 악에 의해서 억압을 받을 때, 우리는 세상을 구원하는 진리, 민족을 억압에서 구원하는 정의, 모든 사람에게 평화의 길을 보여주는 희망을 증거하도록 부르심을 받습니다.

Jesus’ words, in a prophetic way, attest to the fact that the disasters and sorrows of history will come to an end. At the same time, the joy of those who recognize him as Savior, is destined to last forever. “By your endurance you will gain your souls” (Lk 21:19): this promise of the Lord gives us the strength to resist the threatening events of history and every offense. We do not remain powerless in the face of suffering, because he himself gives us “words and a wisdom” (v. 15) always to do the good with a fervent heart.

예수님의 말씀은, 예언적인 방식으로, 역사의 재앙과 슬픔이 끝날 것이라는 사실을 입증합니다. 동시에 그분을 구세주로 인정하는 사람들의 기쁨은 분명 영원히 지속될 것입니다. “너희는 인내로써 생명을 얻어라.” (루카복음 21:19) 주님의 이 약속은 우리에게 역사의 위협적인 사건들과 모든 공격에 맞서 싸울 힘을 줍니다. 우리는 고통 앞에서 무력한 채로 있지 않습니다. 그분께서 몸소 우리에게 항상 뜨거운 마음으로 선을 행할 수 있는 “언변과 지혜”(15절)를 주시기 때문입니다.

Dear friends,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Church, it is above all the martyrs who remind us that God’s grace is capable of transforming even violence into a sign of redemption. Therefore, joining with our brothers and sisters who suffer for the name of Jesus, let us confidently seek the intercession of Mary, Help of Christians. In every trial and difficulty, may the Blessed Virgin console and sustain us.

사랑하는 친구 여러분, 교회 역사를 통틀어 하느님의 은총이 폭력조차도 구원의 표징으로 바꿀 수 있음을 우리에게 일깨워 주는 사람들은 무엇보다도 순교자들입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이름으로 고통 받는 형제자매들과 함께, 그리스도인들의 도움이신 성모 마리아의 전구를 확신을 가지고 청합시다. 복되신 동정 성모 마리아여, 모든 시련과 어려움 속에서 저희를 위로하시고 지탱하여 주소서!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As I just mentioned in my reflection on the Gospel, Christians today are still suffering from discrimination and persecution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In particular, I think of Bangladesh, Nigeria, Mozambique, Sudan and other countries from which we often hear news of attacks on communities and places of worship. God is a merciful Father, and he desires peace among all his children! My prayers are with the families in Kivu,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where in recent days there has been a massacre of civilians, with at least twenty victims of a terrorist attack. Let us pray that all violence will cease, and that believers will work together for the common good.

삼종기도 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음의 묵상에서 말씀드렸듯이,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여전히 ​​세계 곳곳에서 차별과 박해를 받고 있습니다. 특별히 저는 공동체들과 예배장소들에 대한 공격소식을 자주 접하는 방글라데시, 나이지리아, 모잠비크, 수단, 그리고 다른 나라들을 생각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자비로우신 아버지이시며, 당신의 모든 자녀들 사이에 평화가 있기를 바라십니다! 저는 최근 테러 공격으로 최소 20명이 사망하는 등 민간인 학살이 발생한 콩고민주공화국 키부의 가족들을 위해 기도합니다. 모든 폭력이 중단되고 신자들이 공동선을 위해 함께 일할 수 있도록 기도합시다.

I follow with sorrow the news of the attacks that continue to strike numerous Ukrainian cities, including Kyiv. They cause casualties and injuries – children among them – and extensive damage to civilian infrastructure, leaving families homeless as the cold weather sets in. I assure those severely affected of my closeness. We must not become accustomed to war and destruction! Let us pray together for a just and lasting peace in war-torn Ukraine.

저는 슬픈 마음으로 키이우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여러 도시를 강타하는 공격 소식을 지켜봅니다. 어린이를 포함한 많은 사상자와 부상자가 발생하고, 민간 기반 시설이 광범위하게 파손되어 추운 날씨 속에서 가족들이 집을 잃고 있습니다. 심각한 피해를 입은 분들께 저의 깊은 위로를 전합니다. 우리는 전쟁과 파괴에 익숙해져서는 안 됩니다! 전쟁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에 정의롭고 지속적인 평화가 찾아오도록 함께 기도합시다.

I would also like to offer my prayers for the victims of the serious road accident that occurred last Wednesday in southern Peru. May the Lord welcome the deceased, sustain the injured and comfort the bereaved families.

지난 수요일 페루 남부에서 발생한 심각한 교통사고 희생자들을 위해 기도드립니다. 주님, 고인들을 따뜻하게 맞아주시고, 부상자들을 위로해 주시고, 유가족들을 위로해 주소서!

Yesterday, in Bari, Carmelo De Palma was beatified.  He was a diocesan priest who died in 1961 after a life generously spent in the ministry of Confession and spiritual accompaniment. May his witness inspire priests to give themselves unreservedly to the service of God’s holy people.

어제 바리에서 카르멜로 데 팔마 신부님이 시복되셨습니다. 그는 교구 사제로서 고해성사와 영적 동반에 헌신하며 평생을 바친 후 1961년에 선종하셨습니다. 그의 증언이 사제들이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을 섬기는 데 온전히 헌신하도록 영감을 주기를 바랍니다.

Today we celebrate the World Day of the Poor. I thank all those in dioceses and parishes who have organized initiatives of solidarity with the most disadvantaged.  This is an opportune day on which to highlight once again the Apostolic Exhortation Dilexi Te, “I have loved you”, on love for the poor, a document that Pope Francis was preparing in the last months of his life and which I completed with great joy.

오늘 우리는 세계 가난한 이의 날을 기념합니다. 가장 불우한 이웃들과 연대하는 활동을 펼쳐주신 교구와 본당의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오늘은 가난한 이들에 대한 사랑에 관한 교황 권고 「딜렉시 테」(Dilexi Te, "나는 너희를 사랑했다")를 다시 한 번 강조하기에 매우 적절한 날입니다.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생애 마지막 몇 달 동안 준비하셨고, 제가 큰 기쁨으로 완성한 문서입니다.

On this day, we also remember all those who have died in road accidents, too often caused by irresponsible behavior. Let each of us examine our conscience on this matter.

오늘 우리는 너무 자주 무책임한 행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은 모든 분들을 기억합니다. 이 문제에 대해 우리 각자 양심을 성찰합시다.

I also join the Church in Italy, which today promotes the “Day of prayer for the victims and survivors of abuse”, so that a culture of respect may grow and ensure the protection of the dignity of every person, especially minors and the most vulnerable.

저는 또한 오늘 "학대 피해자와 생존자를 위한 기도의 날"을 장려하는 이탈리아 교회에 동참합니다. 이를 통해 존중의 문화가 성장하고 모든 사람, 특히 미성년자와 가장 취약한 사람들의 존엄성이 보호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Now I warmly greet all of you, the faithful of Rome and pilgrims from Italy, and from many parts of the world, especially those from Bar in Montenegro, Valencia in Spain, Syros in Greece, Puerto Rico, Sofia in Bulgaria, Bismarck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tudents of the Catholic Theological Union in Chicago and the Eintracht Nentershausen Choir from Germany.

이제 저는 로마의 신자들과 이탈리아와 세계 여러 곳에서 오신 순례자들, 특히 몬테네그로의 바르, 스페인의 발렌시아, 그리스의 시로스, 푸에르토리코, 불가리아의 소피아, 미국의 비스마르크, 시카고의 가톨릭 신학 연합 학생, 독일의 아인트라흐트 넨터스하우젠 합창단에서 온 여러분 모두에게 따뜻한 인사를 전합니다.

I greet the Polish pilgrims, recalling the anniversary of the Message of Reconciliation addressed by the Polish Bishops to the German Bishops after the Second World War. Finally, I greet the Vincentian Family and the groups from Lurago d’Erba, Coiano, Cusago, Paderno Dugnano and Borno.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 주교들이 독일 주교들에게 전한 화해의 메시지 기념일을 회상하며 폴란드 순례자 여러분께 인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빈첸시오 가족 여러분과 루라고 데르바, 코이아노, 쿠사고, 파데르노 두냐노, 보르노에서 오신 분들께도 인사드립니다.

I thank you all, and wish you a happy Sunday!

여러분 모두 감사드리고, 행복한 주일 보내시길 바랍니다!

한글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