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5.10.26)
최고관리자
14시간 5분전
1
0
- - 짧은주소 : http://www.yscatholic.com/bbs/?t=1zL
본문
POPE LEO XIV, ANGELUS, 30th Sunday in Ordinary Time, Saint Peter's Square, Sunday, 26 October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Today’s Gospel (cf. Lk 18:9-14) presents two individuals, a Pharisee and a tax collector, who are praying in the Temple. The first boasts a long list of merits. He has done many good works, and for this reason he feels superior to others, whom he judges contemptuously. He stands with his head held high. His attitude is clearly presumptuous, denoting a strict observance of the law, but one that is poor in love, made up of “giving” and “taking,” of debts and credits, devoid of mercy.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연중 제30주일,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10월 26일 주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오늘 복음(루카 18,9-14 참조)은 성전에서 기도하는 두 사람, 바리사이와 세리를 소개합니다. 바리사이는 긴 공로목록을 자랑합니다. 그는 많은 선행을 했기에 다른 사람들보다 우월하다고 느끼고 그들을 업신여기며 판단합니다. 그는 고개를 높이제치고 꼿꼿이 서있습니다. 그의 태도는 분명 경멸적이고, 율법을 엄격히 준수하는 것을 나타내지만, 사랑이 부족하고, 차입금과 대출금의 “주고” “받음”이 정확하고, 자비가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The tax collector is also praying, but in a very different way. He is in great need of forgiveness: he is a tax collector paid by the Roman Empire, and he works under a contract that allows him to speculate on the proceeds to the detriment of his own countrymen. Yet, at the end of the parable, Jesus tells us that it is the tax collector who returns home “justified,” that is, forgiven and renewed by his encounter with God. Why?
세리도 기도하지만, 전혀 다른 방식으로 기도합니다. 그는 용서를 절실히 필요로 합니다. 그는 로마 제국의 급여를 받는 세리이며, 자신의 동포들에게 해를 끼치면서까지 세금을 책정할 수 있는 재량권을 갖는 계약에 따라 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유의 마지막 부분에서 예수님께서 세리가 의롭게 되어 돌아간다고, 즉 하느님과 만나서 용서받고 새롭게 되어 집으로 돌아간다고 말씀하십니다. 왜 그럴까요?
First, the tax collector had the courage and humility to present himself before God. He did not close himself off in his own world or resign himself to the evil he has done. He left the places where he was feared, safe and protected by the power he wielded over others. He went to the Temple alone, without an escort, even at the cost of facing harsh glances and sharp judgments, and he stood before the Lord, at the back, with his head bowed, uttering a few words: “God, be merciful to me a sinner” (v. 13).
첫째, 세리는 하느님 앞에 자신을 드러낼 용기와 겸손을 지녔습니다. 그는 자신의 세상에 갇혀 있지 않고, 자신이 저지른 악에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자신이 두려움의 대상이고, 안전하고,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휘두른 권력의 보호를 받는 곳을 떠났습니다. 그는 가혹한 시선과 날카로운 심판을 마주칠 위험을 무릅쓰고 호위 없이 혼자서 성전에 가서, 하느님 앞에 멀찍이 서서 머리를 조아리고 말하였습니다. “오, 하느님! 이 죄인을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13절)
Jesus gives us a powerful message: it is not by flaunting our merits that we are saved, nor by hiding our mistakes, but by presenting ourselves honestly, just as we are, before God, ourselves and others, asking for forgiveness and entrusting ourselves to the Lord’s grace.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주십니다. 우리의 공로를 과시하거나 우리의 실수를 숨김으로써 구원받지 않고, 우리 자신을 있는 그대로 하느님, 우리자신, 그리고 다른 사람들 앞에 정직하게 드러내고, 용서를 간청하고, 우리 자신을 하느님의 은총에 의탁함으로써 구원 받습니다.
Commenting on this passage, Saint Augustine compares the Pharisee to a sick man who, out of shame and pride, hides his wounds from the doctor. The tax collector is compared to another who, with humility and wisdom, lays bare his wounds before the doctor, however unpleasant they may be to look at, and asks for help. The saint concludes: “It is not surprising that it was the tax-collector… who went away cured, since he had not been ashamed of showing where he felt pain” (Sermo 351,1).
이 구절을 해설하며, 아오스딩 성인은 바리사이를 수치심과 교만 때문에 자신의 상처를 의사에게 숨기는 환자와 비교합니다. 성인은 세리를 겸손과 지혜로 아무리 보기 흉하더라고 의사 앞에 자신의 상처를 모두 드러내고 도움을 요청하는 다른 환자와 비교합니다. 아오스딩 성인은 이렇게 결론을 짓습니다. “아픈 곳을 드러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기 때문에, 치유되어 돌아간 사람이 세리였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설교 351.1)
Dear brothers and sisters, let us do the same. Let us not be afraid to acknowledge our mistakes, lay them bare, take responsibility for them and entrust them to God’s mercy. That way, his Kingdom — which belongs not to the proud but to the humble and is built through prayer and action, by practicing honesty, forgiveness and gratitude — can grow in us and around us. Let us ask Mary, the model of holiness, to help us grow in these virtues.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도 그렇게 합시다. 우리의 실수를 인정하고, 정직하게 드러내고, 그에 대해 책임을 지고, 그것을 하느님의 자비에 맡기는 것을 두려워하지 맙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분의 나라가 - 교만한 사람들에게 속하지 않고 겸손한 사람들에게 속한 하느님 나라, 그리고 기도와 행동을 통해, 정직, 용서, 감사를 실천함으로써 세워지는 하느님 나라가 - 우리 안에 그리고 우리 주위에 성장할 수 있습니다. 거룩함의 모범이신 성모 마리아께 우리가 이러한 덕행들 안에서 성장하도록 도와주시길 청합시다.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I express my heartfelt closeness to the people of eastern Mexico, which in recent days was hit by flooding. I pray for the families and for all who are suffering because of this calamity, and I entrust to the Lord, through the intercession of the Blessed Virgin, the souls of the deceased.
삼종기도 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최근 홍수 피해를 입은 멕시코 동부 지역 주민들에게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저는 이 재난으로 고통 받는 모든 분들과 유가족들을 위해 기도드리며,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전구를 통해 고인들의 영혼을 주님께 의탁합니다.
Our prayer for peace continues unceasingly, particularly through the communal recitation of the Holy Rosary. As we contemplate the mysteries of Christ together with the Virgin Mary, we make our own the suffering and the hope of the children, the mothers, the fathers, and the elderly who are victims of war. And from this heartfelt intercession arise many gestures of evangelical charity, concrete closeness, and solidarity. To all who, each day, carry forward this commitment with trusting perseverance, I say once again: “Blessed are the peacemakers!”
평화를 위한 우리의 기도는 끊임없이 이어지며, 특별히 함께 바치는 묵주기도를 통해 지속됩니다. 동정 성모 마리아와 함께 그리스도의 신비를 묵상하며, 우리는 전쟁의 희생자인 어린이,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노인들의 고통과 희망을 우리 자신의 것으로 만듭니다. 그리고 이러한 진심 어린 전구로부터 복음적 사랑, 구체적인 친밀함, 그리고 연대의 많은 활동들이 일어납니다. 매일 믿음과 인내로 이러한 헌신을 실천하는 모든 이에게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의 자녀라 불릴 것이다.”
I greet all of you, Romans and pilgrims from Italy and from many parts of the world, especially those from Logroño in Spain, San Pedro in Paraguay, Recreio in Brazil, and the Cuban community residing in Europe.
저는 로마 시민 여러분, 이탈리아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오신 순례자 여러분, 특히 스페인 로그로뇨, 파라과이 산페드로, 브라질 레크레이오, 그리고 유럽에 거주하는 쿠바 공동체 여러분 모두에게 인사드립니다.
I also greet the faithful from Ginosa, Genoa, Corato, Fornovo San Giovanni, Milan, San Giovanni Ilarione, and Porto Legnago; the young people from Scicli; the candidates for Confirmation from the Diocese of Saluzzo; the Reparatrix Sisters of the Sacred Heart, celebrating 150 years since their foundation; the Communion and Liberation group from Pavia; and the Polyphonic Choir of Milazzo. Thank you all! Have a pleasant Sunday!
저는 또한 지노사, 제노아, 코라토, 포르노보 산 조반니, 밀라노, 산 조반니 일라리오네, 포르토 레나고 신자 여러분, 시클리의 젊은이들, 살루초 교구의 견진성사 후보자 여러분, 성심 수녀회 설립 150주년을 기념하는 수녀회, 파비아의 친교와 해방 모임, 그리고 밀라초 폴리포닉 합창단 여러분께도 인사드립니다. 모두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일 보내십시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Today’s Gospel (cf. Lk 18:9-14) presents two individuals, a Pharisee and a tax collector, who are praying in the Temple. The first boasts a long list of merits. He has done many good works, and for this reason he feels superior to others, whom he judges contemptuously. He stands with his head held high. His attitude is clearly presumptuous, denoting a strict observance of the law, but one that is poor in love, made up of “giving” and “taking,” of debts and credits, devoid of mercy.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연중 제30주일,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10월 26일 주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오늘 복음(루카 18,9-14 참조)은 성전에서 기도하는 두 사람, 바리사이와 세리를 소개합니다. 바리사이는 긴 공로목록을 자랑합니다. 그는 많은 선행을 했기에 다른 사람들보다 우월하다고 느끼고 그들을 업신여기며 판단합니다. 그는 고개를 높이제치고 꼿꼿이 서있습니다. 그의 태도는 분명 경멸적이고, 율법을 엄격히 준수하는 것을 나타내지만, 사랑이 부족하고, 차입금과 대출금의 “주고” “받음”이 정확하고, 자비가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The tax collector is also praying, but in a very different way. He is in great need of forgiveness: he is a tax collector paid by the Roman Empire, and he works under a contract that allows him to speculate on the proceeds to the detriment of his own countrymen. Yet, at the end of the parable, Jesus tells us that it is the tax collector who returns home “justified,” that is, forgiven and renewed by his encounter with God. Why?
세리도 기도하지만, 전혀 다른 방식으로 기도합니다. 그는 용서를 절실히 필요로 합니다. 그는 로마 제국의 급여를 받는 세리이며, 자신의 동포들에게 해를 끼치면서까지 세금을 책정할 수 있는 재량권을 갖는 계약에 따라 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유의 마지막 부분에서 예수님께서 세리가 의롭게 되어 돌아간다고, 즉 하느님과 만나서 용서받고 새롭게 되어 집으로 돌아간다고 말씀하십니다. 왜 그럴까요?
First, the tax collector had the courage and humility to present himself before God. He did not close himself off in his own world or resign himself to the evil he has done. He left the places where he was feared, safe and protected by the power he wielded over others. He went to the Temple alone, without an escort, even at the cost of facing harsh glances and sharp judgments, and he stood before the Lord, at the back, with his head bowed, uttering a few words: “God, be merciful to me a sinner” (v. 13).
첫째, 세리는 하느님 앞에 자신을 드러낼 용기와 겸손을 지녔습니다. 그는 자신의 세상에 갇혀 있지 않고, 자신이 저지른 악에 굴복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자신이 두려움의 대상이고, 안전하고, 자신이 다른 사람들에게 휘두른 권력의 보호를 받는 곳을 떠났습니다. 그는 가혹한 시선과 날카로운 심판을 마주칠 위험을 무릅쓰고 호위 없이 혼자서 성전에 가서, 하느님 앞에 멀찍이 서서 머리를 조아리고 말하였습니다. “오, 하느님! 이 죄인을 불쌍히 여겨 주십시오.” (13절)
Jesus gives us a powerful message: it is not by flaunting our merits that we are saved, nor by hiding our mistakes, but by presenting ourselves honestly, just as we are, before God, ourselves and others, asking for forgiveness and entrusting ourselves to the Lord’s grace.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주십니다. 우리의 공로를 과시하거나 우리의 실수를 숨김으로써 구원받지 않고, 우리 자신을 있는 그대로 하느님, 우리자신, 그리고 다른 사람들 앞에 정직하게 드러내고, 용서를 간청하고, 우리 자신을 하느님의 은총에 의탁함으로써 구원 받습니다.
Commenting on this passage, Saint Augustine compares the Pharisee to a sick man who, out of shame and pride, hides his wounds from the doctor. The tax collector is compared to another who, with humility and wisdom, lays bare his wounds before the doctor, however unpleasant they may be to look at, and asks for help. The saint concludes: “It is not surprising that it was the tax-collector… who went away cured, since he had not been ashamed of showing where he felt pain” (Sermo 351,1).
이 구절을 해설하며, 아오스딩 성인은 바리사이를 수치심과 교만 때문에 자신의 상처를 의사에게 숨기는 환자와 비교합니다. 성인은 세리를 겸손과 지혜로 아무리 보기 흉하더라고 의사 앞에 자신의 상처를 모두 드러내고 도움을 요청하는 다른 환자와 비교합니다. 아오스딩 성인은 이렇게 결론을 짓습니다. “아픈 곳을 드러내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기 때문에, 치유되어 돌아간 사람이 세리였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설교 351.1)
Dear brothers and sisters, let us do the same. Let us not be afraid to acknowledge our mistakes, lay them bare, take responsibility for them and entrust them to God’s mercy. That way, his Kingdom — which belongs not to the proud but to the humble and is built through prayer and action, by practicing honesty, forgiveness and gratitude — can grow in us and around us. Let us ask Mary, the model of holiness, to help us grow in these virtues.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우리도 그렇게 합시다. 우리의 실수를 인정하고, 정직하게 드러내고, 그에 대해 책임을 지고, 그것을 하느님의 자비에 맡기는 것을 두려워하지 맙시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분의 나라가 - 교만한 사람들에게 속하지 않고 겸손한 사람들에게 속한 하느님 나라, 그리고 기도와 행동을 통해, 정직, 용서, 감사를 실천함으로써 세워지는 하느님 나라가 - 우리 안에 그리고 우리 주위에 성장할 수 있습니다. 거룩함의 모범이신 성모 마리아께 우리가 이러한 덕행들 안에서 성장하도록 도와주시길 청합시다.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I express my heartfelt closeness to the people of eastern Mexico, which in recent days was hit by flooding. I pray for the families and for all who are suffering because of this calamity, and I entrust to the Lord, through the intercession of the Blessed Virgin, the souls of the deceased.
삼종기도 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최근 홍수 피해를 입은 멕시코 동부 지역 주민들에게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저는 이 재난으로 고통 받는 모든 분들과 유가족들을 위해 기도드리며,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전구를 통해 고인들의 영혼을 주님께 의탁합니다.
Our prayer for peace continues unceasingly, particularly through the communal recitation of the Holy Rosary. As we contemplate the mysteries of Christ together with the Virgin Mary, we make our own the suffering and the hope of the children, the mothers, the fathers, and the elderly who are victims of war. And from this heartfelt intercession arise many gestures of evangelical charity, concrete closeness, and solidarity. To all who, each day, carry forward this commitment with trusting perseverance, I say once again: “Blessed are the peacemakers!”
평화를 위한 우리의 기도는 끊임없이 이어지며, 특별히 함께 바치는 묵주기도를 통해 지속됩니다. 동정 성모 마리아와 함께 그리스도의 신비를 묵상하며, 우리는 전쟁의 희생자인 어린이,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노인들의 고통과 희망을 우리 자신의 것으로 만듭니다. 그리고 이러한 진심 어린 전구로부터 복음적 사랑, 구체적인 친밀함, 그리고 연대의 많은 활동들이 일어납니다. 매일 믿음과 인내로 이러한 헌신을 실천하는 모든 이에게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행복하여라, 평화를 이루는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의 자녀라 불릴 것이다.”
I greet all of you, Romans and pilgrims from Italy and from many parts of the world, especially those from Logroño in Spain, San Pedro in Paraguay, Recreio in Brazil, and the Cuban community residing in Europe.
저는 로마 시민 여러분, 이탈리아와 세계 여러 지역에서 오신 순례자 여러분, 특히 스페인 로그로뇨, 파라과이 산페드로, 브라질 레크레이오, 그리고 유럽에 거주하는 쿠바 공동체 여러분 모두에게 인사드립니다.
I also greet the faithful from Ginosa, Genoa, Corato, Fornovo San Giovanni, Milan, San Giovanni Ilarione, and Porto Legnago; the young people from Scicli; the candidates for Confirmation from the Diocese of Saluzzo; the Reparatrix Sisters of the Sacred Heart, celebrating 150 years since their foundation; the Communion and Liberation group from Pavia; and the Polyphonic Choir of Milazzo. Thank you all! Have a pleasant Sunday!
저는 또한 지노사, 제노아, 코라토, 포르노보 산 조반니, 밀라노, 산 조반니 일라리오네, 포르토 레나고 신자 여러분, 시클리의 젊은이들, 살루초 교구의 견진성사 후보자 여러분, 성심 수녀회 설립 150주년을 기념하는 수녀회, 파비아의 친교와 해방 모임, 그리고 밀라초 폴리포닉 합창단 여러분께도 인사드립니다. 모두 감사합니다! 즐거운 주일 보내십시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