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미사강론(2025.04.20)

최고관리자
2025.04.23 09:58 411 0

본문

HOMILY OF HIS HOLINESS POPE FRANCIS, HOLY MASS, EASTER SUNDAY, READ BY CARDINAL ANGELO COMASTRI, Saint Peter's Square, 20 April 2025

Mary Magdalene, seeing that the stone of the tomb had been rolled away, ran to tell Peter and John. After receiving the shocking news, the two disciples also went out and — as the Gospel says — “the two were running together” (Jn 20:4). The main figures of the Easter narratives all ran! On the one hand, “running” could express the concern that the Lord’s body had been taken away; but, on the other hand, the haste of Mary Magdalene, Peter and John expresses the desire, the yearning of the heart, the inner attitude of those who set out to search for Jesus. He, in fact, has risen from the dead and therefore is no longer in the tomb. We must look for him elsewhere.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강론, 부활 대축일 미사, 안젤로 코마스트리 추기경 대독, 성 베드로 광장, 2025. 4. 20.

마리아 막달레나는 무덤의 돌이 치워진 것을 보고 베드로와 요한에게 달려가 이 소식을 알렸습니다. 충격적인 소식을 듣고 두 제자도 밖으로 나가서, 복음서에 의하면, “함께 달렸습니다.” (요한 20,4) 부활절 이야기의 주요 인물들은 모두 달렸습니다. 한편으로 "달리는" 것은 주님의 시신이 없어졌다는 걱정을 표현할 수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마리아 막달레나, 베드로, 그리고 요한의 서두름은 갈망, 마음의 열망, 예수님을 찾고자 하는 내적 태도를 표현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사실 죽음에서 부활하셨고 더 이상 무덤에 계시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예수님을 다른 곳에서 찾아야 합니다.

This is the message of Easter: we must look for him elsewhere. Christ is risen, he is alive! He is no longer a prisoner of death, he is no longer wrapped in the shroud, and therefore we cannot confine him to a fairy tale, we cannot make him a hero of the ancient world, or think of him as a statue in a museum! On the contrary, we must look for him and this is why we cannot remain stationary.  We must take action, set out to look for him: look for him in life, look for him in the faces of our brothers and sisters, look for him in everyday business, look for him everywhere except in the tomb.

이것이 부활절의 메시지입니다. 우리는 그분을 다른 곳에서 찾아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부활하셨고, 살아 계십니다! 그분은 더 이상 죽음의 포로가 아니시며, 더 이상 수의에 싸여 계시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그분을 동화 속에 가두거나, 고대의 영웅으로 여기거나, 박물관의 조각상으로 생각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우리는 그분을 찾아야 하며, 이것이 바로 우리가 가만히 있으면 안 되는 이유입니다. 행동해야 합니다. 그분을 찾아 나서야 합니다. 삶 안에서, 우리 형제자매들의 얼굴에서, 일상적인 일 속에서, 무덤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그분을 찾으십시오.

We must look for him without ceasing. Because if he has risen from the dead, then he is present everywhere, he dwells among us, he hides himself and reveals himself even today in the sisters and brothers we meet along the way, in the most ordinary and unpredictable situations of our lives. He is alive and is with us always, shedding the tears of those who suffer and adding to the beauty of life through the small acts of love carried out by each of us.

우리는 끊임없이 그분을 찾아야 합니다. 그분께서 죽음에서 부활하셨다면, 그분께서는 어디에나 현존하시고, 우리 가운데 거하시며, 오늘도 우리가 만나는 자매형제들 안에, 우리 삶의 가장 평범하고 예측불가의 상황 안에 자신을 숨기시거나 드러내시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살아계시고 항상 우리와 함께 계시며, 고통 받는 이들과 함께 눈물을 흘리시고, 우리 각자가 행하는 작은 사랑의 실천을 통해 삶을 아름답게 하십니다.

For this reason, our Easter faith, which opens us to the encounter with the risen Lord and prepares us to welcome him into our lives, is anything but a complacent settling into some sort of “religious reassurance.” On the contrary, Easter spurs us to action, to run like Mary Magdalene and the disciples; it invites us to have eyes that can “see beyond,” to perceive Jesus, the one who lives, as the God who reveals himself and makes himself present even today, who speaks to us, goes before us, surprises us. Like Mary Magdalene, every day we can experience losing the Lord, but every day we can also run to look for him again, with the certainty that he will allow himself to be found and will fill us with the light of his resurrection.

이러한 이유로, 우리의 마음을 열어 부활하신 주님과 만나게 하고 주님을 우리의 삶 안으로 맞이하도록 준비시키는 우리의 부활 신앙은 안주하는 “종교적 위안”과는 거리가 멉니다. 오히려 부활은 우리를 행동하도록, 마리아 막달레나와 제자들처럼 달리도록 재촉합니다. 부활은 우리에게 “그 너머로” 예수님을 알아볼 수 있는 눈을 가지라고 초대합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처럼, 살아계시고, 자신을 드러내시고, 오늘도 우리 곁에 현존하시고,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우리 앞에 가시고, 우리를 놀라게 하십니다. 마리아 막달레나처럼 우리도 매일 주님을 잃는 체험을 하지만, 우리는 또한, 주님께서 우리에게 발견되시고 우리를 당신 부활의 빛으로 채워주실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그분을 다시 찾기 위해 달릴 수 있습니다.

Brothers and sisters, this is the greatest hope of our life: we can live this poor, fragile and wounded existence clinging to Christ, because he has conquered death, he conquers our darkness and he will conquer the shadows of the world, to make us live with him in joy, forever. This is the goal towards which we press on, as the Apostle Paul says, forgetting what lies behind and straining forward to what lies ahead (cf. Phil 3:12-14). Like Mary Magdalene, Peter and John, we hasten to meet Christ.

형제자매 여러분, 이것이 우리 삶의 가장 큰 희망입니다. 우리는 이 가난하고 연약하며 상처받은 삶을 그리스도께 의지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가 그분과 함께 영원히 기쁘게 살게 하시기 위해, 죽음을 이기셨고, 우리의 어둠을 이기시고, 세상의 그림자를 이기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사도 바오로가 말한 우리의 목표입니다. 즉, “내 뒤에 있는 것을 잊어버리고 앞에 있는 것을 향하여 내달리는 것” (필리피서 3,12-14 참조) 입니다. 마리아 막달레나, 베드로, 그리고 요한처럼 우리는 그리스도를 만나기 위해 서두릅니다.

The Jubilee invites us to renew the gift of hope within us, to surrender our sufferings and our concerns to hope, to share it with those whom we meet along our journey and to entrust to hope the future of our lives and the destiny of the human family. And so we cannot settle for the fleeting things of this world or give in to sadness; we must run, filled with joy. Let us run towards Jesus, let us rediscover the inestimable grace of being his friends. Let us allow his Word of life and truth to shine in our life. As the great theologian Henri de Lubac said, “It should be enough to understand this: Christianity is Christ. No, truly, there is nothing else but this. In Christ we have everything” (Les responsabilités doctrinales des catholiques dans le monde d'aujourd'hui, Paris 2010, 276).

희년은 우리 안에 있는 희망의 선물을 새롭게 하고, 고통과 근심을 희망에 맡기고, 여정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희망을 나누며, 우리 삶의 미래와 인류 가족의 운명을 희망에 맡기도록 초대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세상의 덧없는 것들에 안주하거나 슬픔에 굴복해서는 안 됩니다. 기쁨에 차 달려가야 합니다. 예수님을 향해 달려가고, 그분의 친구가 되는 헤아릴 수 없는 은총을 재발견합시다. 그분의 생명과 진리의 말씀이 우리 삶 안에 빛나게 합시다. 위대한 신학자 앙리 드 뤼박이 말했듯이, "이것만 이해하면 됩니다. 그리스도교는 그리스도입니다. 아닙니다. 진실로 이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리스도 안에 우리는 모든 것을 가지고 있습니다." (Les responsabilités doctrinales des catholiques dans le monde d'aujourd'hui, Paris 2010, 276).

And this “everything” that is the risen Christ opens our life to hope. He is alive, he still wants to renew our life today. To him, conqueror of sin and death, we want to say:

그리고 이 “모든 것”은 부활하신 그리스도이시며, 그분께서 우리의 삶을 희망으로 열어주십니다. 그분께서 살아계시며 오늘도 우리의 삶을 새롭게 하기를 원하십니다. 죄와 죽음을 이기신 그분께 우리는 기도합니다:

“Lord, on this feast day we ask you for this gift: that we too may be made new, so as to experience this eternal newness. Cleanse us, O God, from the sad dust of habit, tiredness and indifference; give us the joy of waking every morning with wonder, with eyes ready to see the new colours of this morning, unique and unlike any other. […] Everything is new, Lord, and nothing is the same, nothing is old” (A. Zarri, Quasi una preghiera).

“주님, 이 축일에 당신께 이 선물을 청하옵니다: 저희도 새로워져서 이 영원한 새로움을 체험하게 하소서! 오 하느님, 저에게서 습관, 피곤, 그리고 무관심이라는 슬픈 먼지를 깨끗이 씻어주시고, 매일 아침 경이로움과, 독특하고 다른 어떤 아침과도 같지 않은 이 아침의 새로운 색깔을 볼 준비가 되어있는 눈으로, 깨어나는 기쁨을 주소서! […] 주님, 모든 것이 새롭습니다. 아무것도 예전과 같지 않고, 낡은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A. Zarri, Quasi una preghiera)

Sisters, brothers, in the wonder of the Easter faith, carrying in our hearts every expectation of peace and liberation, we can say: with You, O Lord, everything is new. With you, everything begins again.

자매형제 여러분, 부활신앙의 경이로움 안에서 평화와 해방에 대한 모든 기대를 마음에 품고 우리는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주님, 주님과 함께라면 모든 것이 새롭습니다. 주님과 함께라면 모든 것이 다시 시작됩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