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성경묵상

영어성경묵상

교황님의 삼종기도 강론(2025.11.02)

최고관리자
2025.11.05 15:41 717 0

본문

POPE LEO XIV, ANGELUS, COMMEMORATION OF ALL THE FAITHFUL DEPARTED, 31st Sunday in Ordinary Time, St Peter's Square,  2 November 2025

Dear brothers and sisters, Happy Sunday! In these first days of November, the resurrection of the crucified Jesus from the dead sheds light on the destiny of each one of us. For he told us: “This is the will of him who sent me, that I should lose nothing of all that he has given me, but raise it up on the last day” (Jn 6:39). Thus, the focus of God’s concerns is clear: that no one should perish forever and that everyone should have their own place and radiate their unique beauty.

교황 레오 14세, 삼종기도, 죽은 모든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 연중 제31주일, 성 베드로 광장, 2025년 11월 2일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복된 주일입니다! 11월의 첫 몇 일에,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님의 죽음으로부터의 부활이 우리 각자의 운명에 빛을 비춥니다.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나를 보내신 분의 뜻은, 그분께서 나에게 주신 사람을 하나도 잃지 않고 마지막 날에 다시 살리는 것이다.“ (요한 6,39) 그러므로 하느님 관심의 초점은 분명합니다. 아무도 영원히 멸망하지 않고, 모든 사람이 정녕 자신의 자리를 가지고 그들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것입니다.

This is the mystery that we celebrated yesterday on the Solemnity of All Saints: a communion of differences that, so to speak, extends God’s life to all his daughters and sons who wish to share in it. It is the desire written in the heart of every human being, a longing for recognition, attention and joy. As Pope Benedict XVI explained, the expression “eternal life” gives a name to this insuppressible expectation: not a succession of time without end, but being so immersed in an ocean of infinite love that time, before, and after no longer exist. This fullness of life and joy in Christ is what we hope for and await with all our being (cf. Encyclical Letter Spe Salvi, 12).

이것이 바로 어제 모든 성인 대축일에 우리가 기념했던 신비입니다. 그 신비는 다름의 친교로서, 이를테면, 하느님의 생명을 그 생명을 나누고자 하는 모든 딸과 아들에게 확장합니다. 이는 모든 인간의 마음속에 새겨진 욕구로서, 인정, 관심, 그리고 기쁨에 대한 갈망입니다. 교황 베네딕토 16세께서 설명하셨듯이, “영원한 생명”이라는 표현은 이 억누를 수 없는 기대의 이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끝없는 시간의 연속이 아니라, 무한한 사랑의 바다에 푸욱 잠겨서, 이전과 이후의 시간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의 이 충만한 생명과 기쁨은 바로 우리가 우리의 온 존재로 바라고 기다리는 것입니다. (회칙 「희망으로 구원된 우리」, 12항 참조)

Today’s Commemoration of All the Faithful Departed brings this mystery even closer to us. Indeed, each time that death seems definitively to take away a voice, a face or an entire world, interiorly we understand God’s concern that no one perish. In fact, each person is an entire world. Today, then, is a day that challenges the human memory, so precious and yet so fragile. Without the memory of Jesus – of his life, death and resurrection – the immense treasure of daily life risks being forgotten. In the mind of Jesus, however, even those whom no one remembers, or whom history seems to have erased, always remain in their infinite dignity. Jesus, the rock which the builders rejected, is now the cornerstone (cf. Acts 4:11). That is the Easter proclamation. For this reason, Christians always remember the deceased in every Eucharist, and still today ask that those dear to them be remembered in the Eucharistic Prayer. From this proclamation arises the hope that no one will perish.

오늘 죽은 모든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은 이 신비를 우리에게 더욱 가까이 가져다줍니다. 사실, 죽음이 한 목소리, 한 얼굴, 또는 하나의 온 세상을 확실히 앗아가는 것처럼 보일 때마다, 우리는 하느님께서 아무도 멸망하지 않기를 바라신다는 것을 마음속으로 깨닫습니다. 사실, 각 사람은 온 세상입니다. 그러므로 오늘은 너무나 소중하지만 연약하기 짝이 없는 인간의 기억에 도전하는 날입니다. 예수님께 대한 기억 즉 그분의 삶, 죽음, 그리고 부활에 대한 기억이 없다면, 일상생활의 엄청난 보화는 잊혀 질 위험에 처하게 됩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마음속에는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거나 역사가 지워버린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조차도 무한한 존엄성을 지니고 항상 남아 있습니다. 집 짓는 자들이 버린 바위이신 예수님께서 이제 모퉁이의 머릿돌이십니다. (사도 4,11 참조) 그것이 부활 선포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그리스도인들은 모든 성찬례에서 항상 죽은 이들을 기억하며, 오늘날에도 감사 기도에서 그들에게 소중한 사람들을 기억해 달라고 청합니다. 이 선포에서 아무도 멸망하지 않을 것이라는 희망이 솟아납니다.

May visiting the cemetery, where silence interrupts the hustle and bustle of life, invite us all to remember and to wait in hope. As we say in the Creed: “I look forward to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and the life of the world to come.” Let us commemorate, therefore, the future, for we are not enclosed in the past or in sentimental tears of nostalgia. Neither are we sealed within the present, as in a tomb. May the familiar voice of Jesus reach us, and reach everyone, because it is the only one that comes from the future. May he call us by name, prepare a place for us, free us from that sense of helplessness that tempts us to give up on life. May Mary, the woman of Holy Saturday, teach us once again to hope.

삶의 번잡함 가운데 조용한 묘지의 방문이 우리 모두를 희망 안에서 기억하고 기다리도록 초대하기를 바랍니다. 사도신경에서 기도하듯이, “저는 죽은 이들의 부활과 내세의 삶을 기다리나이다.” 그러므로 미래를 기념합시다. 우리는 과거 또는 향수의 감상적인 눈물에 갇혀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무덤 안에서처럼 현재에 갇혀 있지도 않습니다. 미래에서 오는 유일한 목소리인 예수님의 친숙한 목소리가 우리에게, 그리고 모든 사람에게 다다르게 하소서! 예수 그리스도여, 저희를 이름으로 부르시고, 저희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시고, 삶을 포기하도록 유혹하는 무력감에서 저희를 해방시켜 주소서! 성토요일의 여인이신 성모 마리아님, 저희가 희망하는 것을 다시 한 번 가르쳐주소서!

After the Angelus
Dear brothers and sisters! With great sorrow I am following the tragic news coming from Sudan, especially from the city of El Fasher in the war-torn region of North Darfur. Indiscriminate violence against women and children, attacks on unarmed civilians, and serious obstacles to humanitarian aid are causing unbearable suffering for a population already exhausted by long months of conflict. Let us pray that the Lord may receive the deceased with his embrace, strengthen those who are suffering, and move the hearts of those responsible. I renew my heartfelt appeal to all parties involved to agree to a ceasefire and to urgently open humanitarian corridors. Finally, I call 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act with determination and generosity, to provide assistance and to support those working tirelessly to bring relief.

삼종기도 후
사랑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수단, 특히 전쟁으로 파괴된 북다르푸르 지역의 엘 파셰르에서 전해지는 비극적인 소식을 접하며 깊은 슬픔에 잠겼습니다.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무차별적인 폭력, 비무장 민간인에 대한 공격, 그리고 인도적 지원에 대한 심각한 장애는 이미 오랜 분쟁으로 지친 사람들에게 견딜 수 없는 고통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주님께서 고인을 품에 안으시고, 고통 받는 이들에게 힘을 주시며, 책임자들의 마음을 움직여 주시기를 기도합시다. 모든 관련 당사자들에게 휴전에 합의하고 인도적 지원 통로를 긴급히 열어줄 것을 다시 한 번 간절히 호소합니다. 마지막으로, 국제 사회가 결의와 관대함을 가지고 행동하여 지원을 제공하고, 구호 활동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이들을 지원해 줄 것을 촉구합니다.

Let us also pray for Tanzania, where, following the recent elections, violent clashes have broken out, leaving many victims. I urge everyone to avoid all forms of violence and to follow the path of dialogue.

최근 선거 이후 폭력적인 충돌이 발생하여 많은 희생자를 낸 탄자니아를 위해서도 기도합시다. 모든 사람이 모든 형태의 폭력을 피하고 대화의 길을 따라갈 것을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I greet all of you, Romans and pilgrims from Italy and from many parts of the world.  In particular, I welcome the representatives of the PeaceMed group from various Mediterranean countries; the “São Tomás” College of Lisbon; the Working Sisters of Brescia, together with the theater group Uno di noi; the faithful from Manerbio; the teachers of the “Aurora” Institute of Cernusco sul Naviglio; and the young people of Rivarolo.

로마 시민 여러분, 그리고 이탈리아와 세계 여러 곳에서 오신 순례자 여러분, 그리고 특히 지중해 연안 여러 나라에서 오신 PeaceMed 단체 대표 여러분, 리스본의 "성토마스" 대학, 브레시아의 워킹 시스터즈, 그리고 우노 디 노이(Uno di noi) 극단, 마네르비오 신도 여러분, 체르누스코 술 나빌리오의 "오로라" 연구소 교사 여러분, 그리고 리바롤로의 젊은이들께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This afternoon, at the Verano Cemetery, I will celebrate the Eucharist for all the faithful departed. In spirit, I will visit the graves of my loved ones, and I will also pray for those who have no one to remember them.  But our heavenly Father knows and loves each of us, and he forgets no one!

오늘 오후, 베라노 묘지에서 세상을 떠난 모든 신자들을 위해 성찬례를 거행합니다. 저는, 영적으로, 사랑하는 이들의 무덤을 방문하고, 아무도 기억해 줄 사람이 없는 이들을 위해 기도하겠습니다. 하지만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께서는 우리 각자를 아시고 사랑하시며, 어느 누구도 잊지 않으십니다!

To all of you, I wish a blessed Sunday in Christian remembrance of our departed loved ones.

여러분 모두, 돌아가신 사랑하는 사람들을 기억하는 복된 주일 보내시기 바랍니다.

한글 번역: 윤영학 아오스딩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